-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연구
- The Influential Factors on Parenting Guilt of Mothers using a Day-care Center
- ㆍ 저자명
- 이주연
- ㆍ 간행물명
- 한국보육지원학회지KCI
- ㆍ 권/호정보
- 2014년|10권 3호(통권31호)|pp.159-177 (19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0.29MB)
- ㆍ 주제분야
- 사회복지학
본 연구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 다.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보편적 양육죄책감이 아닌 보육시설에 자녀를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 는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ㆍ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어머 니 350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죄책감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양 육죄책감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의 지지,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보육시설 만족도 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영아 어머니가 유아 어머니에 비해, 그 리고 첫째아의 어머니가 둘째이후 자녀의 어머니에 비해 높은 양육죄책감을 보고하였다. 둘째, 양 육죄책감 영향요인 중, 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양육죄책감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그리고 보육만족도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 는 자녀를 보육시설에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게 되는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을 줄일 수 있는 방 법으로, 교사와 어머니 간의 적극적 상호협력을 통한 양육공조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s on parenting guilt of mothers who use a day-care center.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the present study 1) analysed the differences in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s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mother and child, and 2) examined the relative effect size of influences on the mother’s parenting guilt with their parenting efficacy, satisfaction on the day-care center,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from teachers, and mother’s active interaction with day-care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50 mothers whose infants and toddlers were attending day-care cent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with infants who were younger than 3 years old reported more parenting guilt than the mothers with toddlers. Second, the mothers whose children were the first child reported more parenting guilt than the mothers with children who were the second or the third child. Third, the emotional support from the day-care teache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mother’s parenting guil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mother and day-care teacher are very important to reduce the mother’s parenting guilt.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