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철자능력 향상과 관련된 교수를 실시한 국내
중재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장애 학생들의 철자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연구의 동향과 특
징을 살펴보고, 이들에게 효과적인 철자교수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1975년
부터 2010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회지 및 석․박사학위논문 총 65편을 분석하였다.
본 문헌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대 이후에, 초등학교 저학년(1-3학
년) 4명 이하의 학생을 대상으로, 단일대상 연구 설계를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작문
교수가 가장 많이 실시되었다. 둘째, 집단연구에서는 철자교수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단일
대상연구의 경우 철자중재, 읽기 및 철자중재, 읽기중재, 읽기 및 작문중재 모두 철자 능력
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철자교수의 경우 맞춤법 원리를 포함한 중재, 읽기 및
철자교수의 경우 단어읽기 및 쓰기의 반복연습을 포함한 중재, 작문 교수의 경우 과정중심
글쓰기 교수를 포함한 중재, 읽기 및 작문교수의 경우 책 만들기 활동 중재, 읽기교수의 경
우 반복읽기를 포함한 중재가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