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삶의 만족도
- ㆍ 저자명
- 차경호
- ㆍ 간행물명
- 청소년상담연구KCI
- ㆍ 권/호정보
- 2001년|9권 1호|pp.7-26 (20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사회복지학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성격의 5요인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 검토, 그리고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성격의 5요인의 효과가 자아존중감과 집단자아존중감에 의해서 어떻게 매개되는가를 검토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350명의 대학생들의 성격 5요인, 자아존중감, 집단자아존중감,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이들간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친화성, 개방성, 성실성에 비하여 외향성은 삶의 만족도와 비교적 강한 정적 상관을, 그리고 정서적 민감성은 비교적 강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자아존중감과 집단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와 유사한 크기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모든 성격특성들을 예언변인으로, 삶의 만족도를 준거변인으로 회귀분석한 결과 집단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외향성만이 유의미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성격의 5요인의 효과가 집단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에 의해서 매개됨을 시사한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격의 5요인 중 외향성만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효과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에 대하여 정서적 민감성은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효과만을 보여주었으며, 외향성, 친화성, 그리고 성실성은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 효과와 집단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 효과를 보여주었다. 개방성은 삶의 만족도에 대하여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주목할 결과는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집단자아존중감의 효과가 자아존중감의 효과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의 함의를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I. 서론 1. 성격의 5요인과 삶의 만족도 2. 삶의 만족도의 예언변인으로서의 자아존중감과 집단자아존중감 II. 방 법 1. 조사대상자 2. 조사도구 3. 절차 III. 결 과 2. 회귀분석 3. 경로분석 모형 IV.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