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고등학생의 다차원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ㆍ 저자명
- 구본용,유제민
- ㆍ 간행물명
- 청소년상담연구KCI
- ㆍ 권/호정보
- 2007년|15권 1호|pp.67-76 (10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사회복지학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정된 개인적 특질로서 최근에 제안된 다 차원적 완벽주의를 긍정 그리고 부정 완벽주의로 구분한 후 학교 적응에 미치는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영향과 스트레스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60명의 남녀 중고등학생(남학생이 211명, 여학생이 149명) 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척도는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Frost 등, 1990), 자기효능감 척도, 스트레스 경험척도, 학교적응척도이다. 연구 결과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고려한 긍정적 완벽주의에서 학교적응으로 가는 모델과 스트레스경험의 역할을 고려한 부정적 완벽주의에서 학교적응으로 가는 모델 모두 수용할 만한 수준이었다. 구조방정식 연구의 모델 찾기 과정을 거친 통합모델에서는 부정 완벽에서 자기효능감으로 가는 부적 경로를 추가했을 경우가 가장 적합성이 높았다. 중 다 집단 비교에서 여학생 집단의 경우 긍정적 완벽주의에서 학교 적응으로 가는 경로만이 유의하지 않은 성차가 확인되었다. 이것은 평가에 대한 예기 불안뿐만 아니라 학교 장면 등에서 주체적인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때 여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보다 큰 압력에 직면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개념에 근거해 긍정 완벽주의와 부정 완벽주의가 학교적응과 만족도에 각각 적응적 그리고 부 적응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 적응적 행동의 발생가능성을 줄이고 동시에 적응적인 보호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구체화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치료적인 시사성이 논의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실재 스트레스가 아닌 지각된(perceived) 스트레스를 측정했다는 점과 학업적 성취만으로 대변되는 학교 적응의 기준문제 그리고 역의 인과 관계 문제를 한계로 제시하였다.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분석 결과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