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가진흥법 제정을 위한 연구
- A Study for the Enactment of Leisure Legislation, Leisure Promotion Act
- ㆍ 저자명
- 김정운,최석호,윤소영,김영선
- ㆍ 간행물명
- 여가학연구KCI
- ㆍ 권/호정보
- 2006년|4권 2호(통권11호)|pp.13-38 (26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여가문화학회|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0.39MB)
- ㆍ 주제분야
- 예체능
본 연구는 여가진흥법 제정을 위한 기초연구로 여가시설 확충과 여가전문인력 양성, 적극적이고 동적인 여가활동 참여율 제고를 통한 여가만족도 향상, 여가정책 및 여가행정의 주체로서 여가행정조직 신설, 여가문화 및 여가산업 진흥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문헌연구법, 생활시간연구 방법, 투입산출분석, 사례연구 등을 통해 한국적 상황에서 여가문화와 여가산업을 진흥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여가진흥법 연구를 통해 우리가 풀어나가야 할 과제는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여가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법제도적 장치를 확보하는 것과 가장 한국적이면서 가장 세계적인 여가진흥 방안을 찾아나가는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가진흥법은 우리사회의 특정 계층 또는 특정 부문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구성원 모두를 위한 것이며 우리사회의 질적 전환을 위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아울러 영국의 여가관련 법률을 검토함으로써 여가정보제공, 여가행정기구 신설, 여가교육체계 구축, 여가전문인력 자격인증제도 도입, 여가진흥위원회 신설, 여가진흥기금 조성 등과 같은 사항들이 여가진흥법의 구체적인 내용임을 밝혔다.
This is a groundwork for the enactment of leisure legislation, Leisure Promotion Act. The research has done by methods of document review, content analysis, time budget study, input output analysis, and case study. The researchers have found that what is the most urgent task to solve leisure social problems is installation of the new legal system and finding out the way to promote leisure. Moreover Leisure Promotion Act is not only for a specific class but also for every stratifications of social classes. Lastly the researchers have analyzed British history of leisure acts, and then have considered the wider implications of the acts for \'Leisure Promotion Act\', I.e. the establishment of leisure information centre, the cultivation of leisure professionals, the formation of leisure organization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promotional committee of leisure culture and leisure industry, and government funding for leisure promotion.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