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도움요청의 조절효과 검증: 중학생을 대상으로
- ㆍ 저자명
- 명혜원,이상민,양나연,이지혜
- ㆍ 간행물명
- 청소년상담연구KCI
- ㆍ 권/호정보
- 2016년|24권 2호(통권37호)|pp.201-219 (219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사회복지학
본 연구는 중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도움요청이 학업지연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 는지 알아보고,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도움요청에 의해 조 절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서 1학년 98명, 2학년 98명, 3학년 99 명 총 295명(여 148명, 남 147명)을 대상으로 학업지연행동, 부적응적 완벽주의, 도움요청 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움요청이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 동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 결과로 첫째, 중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학업지연행동을 더 많이 보였으며, 도움요청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지연행동을 덜 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둘째,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도움요청의 수준에 따라 다르 게 나타났다. 즉, 도움요청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도움요청이 증가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해지는 결과 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의 학업지연행동을 낮추기 위해서 도움요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학교현장에서 활발히 활용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 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help-seeking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confirm whether help-seeking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 total of 295 middle school students (148 female, 147 male) in Gyung-gi province consisting of 98 freshmen, 98 sophomores, and 99 juniors, responded to a survey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maladaptive procrastination, and help-seek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 of help-see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Results indicated that (1) higher level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related to severe level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more help-seeking was related to less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2)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differed according to help-seeking level. More help-seeking buff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These results called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intervention programs to encourage students to seek help. Last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