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대폰 문자메시지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과 심리적 특성의 차이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 ㆍ 저자명
- 김태익,김원중
- ㆍ 간행물명
- 청소년상담연구KCI
- ㆍ 권/호정보
- 2009년|17권 1호|pp.94-111 (18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사회복지학
현재 휴대폰은 초등학생도 고학년의 경우 반에서 절반 정도가 갖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 문자메시지는 청소년들이 가장 선호하는 통신 매체가 되었다. 청소년들의 하루 음성 통화 횟수는 5회 이하가 대부분이나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받는 횟수는 30회를 넘는 경우가 많고, 100회 이상인 청소년도 적지 않다. 본 연구는 휴대폰 문자메시지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자아존중감,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휴대폰 문자메시지의 의사소통 유형은 수차례의 예비 조사를 통해 서로 다른 세 가지 유형을 찾아냈는데 첫째는 상대방의 입장도 배려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관철하려 하는 절충형, 둘째는, 자신의 입장만을 고집하는 지배형, 셋째는 상대방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하는 양보형이다. 대상은 중학생 530명이었으며, 방법은 면접과 설문조사를 병행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휴대폰 중독 점수는 문자메시지 의사소통 유형이 지배형인 집단과 양보형인 집단이 절충형인 집단에 비해 더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은 절충형과 양보형이 지배형에 비해 더 높았고, 우울은 지배형이 절충형에 비해 더 높았으며, 심리적 안녕감은 절충형과 양보형이 지배형에 비해 더 높았다.
서론 방법 분석 - 휴대폰 문제메시지의 의사소통 유형 분류 결과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