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ㆍ 저자명
- 오영미,허일범
- ㆍ 간행물명
- 청소년상담연구KCI
- ㆍ 권/호정보
- 2016년|24권 2호(통권37호)|pp.59-74 (74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사회복지학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 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북서부에 소재한 5개의 초등학교 6학년 504명 을 대상으로 학업 스트레스, 자기자비, 학교적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99명 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학업 스 트레스와 학교적응 간에 자기자비가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 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업 스트레스는 자기자비에도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자비는 학 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기자비는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적 응 사이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 내적 요인인 자기자비가 학업 스트레스라는 부정적 정서를 통제하고,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아동의 학교적응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업 스트레스 감소 처치와 함께 자기자비 수준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9 students who were in sixth grade in 5 elementary schools in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gi-do. The test tools were academic stress, school adjustment, and self-compass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cademic str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chool adaptation directly. Second, it was found that academic str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elf-compassion directly. Third, it was found that self-compass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adaptation directly. Fourth, the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stress and the school adjustment. Possible reasons for theses result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참고문헌